이슈 및 뉴스

'이거' 타다가 죽을수도 있다? 안전을 위협하는 도로의 무법자

UDTIT 2020. 11. 6. 13:00
반응형

최근에 유행하는 단어인 '킥라니' 라는 말을 들어보셨나요? ‘킥보드’와 ‘고라니’의 합성어로, 고라니처럼 갑자기 불쑥 튀어나와 운전자를 위협하는 전동 킥보드 운행자를 이르는 말인데요. 최근이 전동킥보드 때문에 사건사고가 늘어나고 있다고 합니다. 갈수록 전동킥보드로 인한 사건이 늘어나고 있으며, 얼마전에 보행자가 처음으로 사망까지 했다고 하는데요. 전동킥보드를 탄 보행자가 어떤일이 있었을까요?

 

 

최근 건설현장에 출근하던 50대 남성이 전동킥보드를 도로에서 운전하며 가다가, 다른방향에서 오던 굴착기와 사고가 나서 킥보드 운전자가 사망을 했다고 하는데요. 안전장치인 헬맷 대신 천모자만 썻다고 알려졌습니다. 실제로 자전거나 킥보드를 이용시 헬멧을 착용하지 않고 사고가 났을 경우 부상의 위험이 34% 이상이나 된다고 알려졌습니다.

 

전동킥보드를 이용할 때는 철저히 안전수칙을 지켜야 함에도 불구하고, 헬멧을 쓰지 않거나, 높은속도로 인해 큰 사건사고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해마다 전동킥보드 사고는 늘어나고 있다고 알려졌는데요.

 

 

한국교통안전공단에 따르면, 개인형 이동수단의 이용 건수는 2019년 1~7월 25만 4000건에서 올해 같은 기간 117만 3000건으로 급증했는데요. 전년 대비 이용 건수가 362% 늘어난 수치입니다. 전동 킥보드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도 늘어났으며 그에 따른 이용자 수 또한 함께 증가했습니다.

 

 

전동킥보드는 자동차나 원동기 면허가 있어야 이용이 가능하며, 차도에서만 운행이 가능합니다. 또 한 최대시속을 25.km로 이하로 이용이 가능한데요. 하지만 최근에 '무면허'로 이용하는 사람이 급증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사건사고에 이어 사망까지도 발생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또 한 사람이 밀집한 지역이나, 속도를 내기 위험한 공간에서, 전동킥보드를 멈춰세우고 걸어가야 하는데요. 전동킥보드의 많은 이용자들이 그대로 속력을 내서 가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에 길거리를 다니는 보행자들은 위험을 느끼고 이에 대한 방책이 나왔으면 좋겠다고 소리를 냈는데요.

 

 

전동킥보드 때문에 불편한 것은 보행자 뿐만이 아닙니다. 운전자들에게도 큰 스트레스로 다가오고 있는데요. 일반 차량 운전자는 물론이며, 택시운전사와 버스운전사도 골목에서 갑자기 튀어나오는 전동킥보드 이용자 때문에 급정거를 하거나, 놀란 순간이 한 두번이 아니라고 합니다. 이대로 가다간 정말 전동킥보드로 인한 사고가 늘어만 날 것 같은데요. 전동킥보드 안전사용에 대한 권고가 필요한 상황입니다.

 

 

최근 강남이나 여의도 직장인들 사이에서 전동킥보드를 이용하는 것이 유행이며 인도에서 걷고있던 사람들이 빠른속도로 지나가는 전동킥보드 때문에 놀라는 경우도 많고, 접촉사고로 이어지는 사건도 많이 발생한다고 합니다. 


전동킥보드는 이용자 보호에 관한 규정이 현재 없는 상태이며, 사고가 났을 때 기기 결함 문제가 아닌 이상 보험 처리가 되지 않는걸로 알려졌습니다. 전동 킥보드 공유 서비스 업체는 보장 보험에 가입돼 있지만, 이용자의 경우 `무보험’에 가까운 실정이라는 지적이 제기되는 이유가 나오고 있습니다. 또 개인형 이동장치의 이용질서에 관한 규정이 없어 PM의 무단방치, 차도, 보도, 자전거 도로 구분 없는 운행, 운전자 보호장구 미착용 등의 단속도 실질적으로 어렵다고 알려졌습니다.

 

 

현재 있는 개인형 이동장치 관련 도로교통법안은 2020년 12월 10일 이전까지는 원동기장치자전거로 차종이 분류되며, 만 16세 이상이어야 하며 운전면허가 있어야 하는데요. 2020년 12월 10일 이후로는 차종이 개인형 이동장치로 분류되며, 만 13세 이상이면 사용이 가능하며, 운전면허도 없어도 이용이 가능합니다. 이러한 도로교통법 때문에 더욱 문제가 제기되고 있습니다.

 

 

위의 개인형 이동수단의 교통안전 수칙처럼 횡단보도에서는 내려서 횡단, 주행 중 이어폰, 휴대폰 사용금지, 안전모, 장갑, 손목보호대, 무릎 및 팔꿈치 보호대등의 안전보호장구를 반드시 착용하고 사용을해야겠습니다. 전동킥보드 사고는 큰 사고로 이어지는 사고인만큼 전동킥보드를 이용할 때는 각별히 주의 하시길 바랍니다.


스마일펀데이 <Smilefunday 저작권자(c) ,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사진 = 도로교통공단, MBC뉴스

반응형